테마파크 성공사례 - 디즈니 월드
테마파크의 성공사례 살펴보겠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입장객이 찾는 월트 디즈니월드는 1971년에 매직킹덤의 개장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면적은 3,700만 평으로 미국 맨해튼의 크기입니다. 종업원만 5만 명이 넘고, 주요 테마파크는 디즈니랜드와 유사한 신데렐라 성이 있는 매직킹덤, 미래의 도시로 계획했던 EPCOT 센터, EPCOT 센터에는 기업홍보관과 11개 국가의 월드쇼 케이스가 있습니다. 영화를 주제로 한 할리우드 스튜디오와 동물을 주제로 한 애니멀 킹덤이 있습니다. 워터파크는 타이푼 라군, 블리자드 비치, 리버 컨트리가 있습니다. 숙박시설은 22개소에 2만 실 이상 있으며 5개의 골프코스에는 99홀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컨벤션 시설, 야간 위락시설, 주거단지 등이 있습니다. 월트 디즈니의 개발 배경은 월트 디즈니가 1955년 오픈한 디즈니랜드 성공 이후 추가적인 공간을 찾던 중 플로리다 중부의 늪지대를 매입하고 개발을 추진한 것입니다. 신속한 개발을 위해, 그리고 승인을 위해 Reedy Creek Improvement District를 플로리다 주와 설립했습니다.
매직킹덤 & 디즈니의 애니멀 킹덤
매직킹덤 개장을 시작으로 다양한 개발을 추진했고, 지금까지도 진행 중입니다. 매직킹덤은 월트 디즈니가 1960년대 직접 토지를 매입해서 준비한 테마파크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월트 디즈니는 개장을 보지 못하고 사망을 했습니다. 매직킹덤 주변으로는 월트 디즈니가 꿈이었던 기관사로서 구성한 기차가 다니는 메인이고요, 입구는 기차역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입구 지역은 미국의 1800년대 작은 도시를 형상화한 Main Street USA입니다. 파크 중앙 신데렐라 성을 중심으로 투모로우 랜드, 판타지랜드, 리버티 스퀘어, 프런티어 랜드, 어드벤처 랜드가 방사형으로 펼쳐져 있습니다. EPCOT 센터는 Experimental Prototype Community of Tomorrow의 약자로 미래의 도시를 계획했었습니다. 하지만 1982년에 오픈하고 중심에는 우리가 서울랜드에서 보는 것과 유사한 은색 원구가 있습니다. 원구를 중심으로 퓨처 월드가 기업홍보관과 어트랙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쪽 호수 주변에는 11개 국가의 파빌리온 등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즈니의 할리우드 스튜디오는 1989년 개장 당시는 MGM 스튜디오였습니다. 유니버설 스튜디오와 유사하게 영화를 주제로 만든 테마파크입니다. 마지막으로 디즈니의 애니멀 킹덤은 4개의 테마파크 중 가장 큰 규모이며 580 에이커에 달합니다. 중심에는 거대한 Tree of Life가 만들어져 있으며 5개의 테마존이 있습니다. 사파리도 있고, 라이언킹을 주제로 한 공연도 이 파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운타운 디즈니는 복합 상업시설이고, 플레져 아일랜드는 야간 위락시설입니다. 애니멀 킹덤과 연결된 애니멀 킹덤 로지는 발코니에서 기린에게 먹이를 줄 수 있는 호텔입니다.
월트 디즈니월드의 단계별 개발과정과 정부의 지원
월트 디즈니월드의 단계별 개발과정입니다. 1단계는 매직킹덤, 2단계는 EPCOT 센터, 3단계는 할리우드 스튜디오와 쇼핑시설 확대, 4단계는 애니멀 킹덤과 숙박시설 확대를 진행했습니다. 월트 디즈니월드가 성공하는 데에는 정부의 지원도 한몫을 했습니다. 통상적으로 미국에서 건축물 승인은 상당히 복잡한 절차인데, 이 프로세스를 간소화해주었고, 세재 지원과 인프라 지원을 해주었습니다. 개발효과로 월트 디즈니월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최대 가족 휴양지가 되었고, 올란도는 세계 제일의 관광지로 변신하였습니다. 디즈니가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대로 보여주고,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디즈니식 서비스 교육과 실행을 통해 고객만족을 실현했습니다. 방송, 영화, 음악 사업부와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성공을 이루었습니다. 디즈니 시너지를 좀 더 살펴보면 다양한 미디어 믹스 전략을 통해 이뤄낸 것입니다. 영상으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미디어 윈도를 통해 매출을 창출하고, 캐릭터 상품으로 만들어져 판매되고, 테마파크에 어트랙션으로도 구성되어 방문객에게 보입니다. 전체 채널을 통해 강화된 브랜드는 미국 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디즈니 파크로도 확산됩니다.
'공연, 출판, 테마파크, 트랜스미디어 산업 특징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개념과 스토리 월드 구축 (0) | 2022.07.26 |
---|---|
플랫폼 비즈니스 - 넷플릭스와 OTT 시장 (0) | 2022.07.26 |
테마파크 시장 현황과 발전 방안 (0) | 2022.07.25 |
테마파크의 유형 (0) | 2022.07.25 |
테마파크의 구성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