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파크 시장 현황과 발전 방안
테마파크의 시장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세계 테마파크는 1,000개 이상이 있다고 추정합니다. 물론 소규모 파크까지 포함하면 훨씬 많은 숫자가 존재합니다. 미국에만 450여 개의 테마파크가 있고,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롯데월드, 에버랜드, 서울랜드 등이 있고, 대략 2천만 명 정도의 입장객이 방문합니다. 2018년 세계 입장객 상위 25개 테마파크는 전년대비 3.3% 증가하여 2억5천 만 입장객을 기록했습니다. 상위 10위권 테마파크 중 8개는 모두 디즈니 파크이고, 5위에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10위에 중국 주하이의 치머룽오션파크(장륭해양왕국)이 올랐습니다. 1위인 올란도의 디즈니월드 내 매직킹덤은 2천8십5만 명의 입장객을 기록했고, 우리나라의 롯데월드는 17위로 5백9십6만 명, 에버랜드는 19위로 5백8십5만 명의 입장객을 기록했습니다. 워터파크 중 1위는 중국 광저우의 치메롱 워터파크가 2백7십4만 명의 입장객을 기록했습니다. 2위와 3위는 미국 올란도 디즈니월드 내 타이푼래군과 블리자드 비치가 차지했습니다. 블리자드 비치의 테마는 플로리다에 눈이 내린 후 녹아내린 현상을 테마로 워터슬라이드는 스키점프, 이동은 스키리프트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오션월드는 백 2십6만 명으로 15위, 캐리비안베이는 백 2십만 명으로 17위를 기록했습니다.
테마파크 발전 방안
테마파크의 발전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테마파크는 무한한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존의 문화콘텐츠와 제대로 결합된다면 매우 큰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합니다. 성장하는 테마파크는 고용창출에 효과적이고, 방문객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아동에게 미래의 꿈과 희망을 전달하고, 나라의 경제, 문화와 예술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영상 콘텐츠산업과 확장 필요
테마파크가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산업에서 확장하여 연결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영상에서만 만날 수 있는 콘텐츠를 현장에서 접하는 감동은 절대 적지 않습니다. 그리고, 테마파크가 Themed entertainment, 상업시설로도 확대되어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테마파크의 미래 전략으로서는 고객지향, 꾸준한 투자, 콘텐츠개발과 복합화를 들 수 있습니다. 고객지향은 테마파크가 꾸준히 노력을 기울여 방문으로 연결해야 된다는 것이며, 지속적인 시설에 대한 투자 없이는 금방 노후된 시설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핵심콘텐츠 확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체재형 리조트로 전환하여 객단가 상승도 기대해야 합니다. 특히 국내 이용자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국내 이용자들을 놓치지 않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공연, 출판, 테마파크, 트랜스미디어 산업 특징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폼 비즈니스 - 넷플릭스와 OTT 시장 (0) | 2022.07.26 |
---|---|
테마파크 성공사례 - 디즈니 월드 (0) | 2022.07.26 |
테마파크의 유형 (0) | 2022.07.25 |
테마파크의 구성 (0) | 2022.07.25 |
테마파크 산업의 개념과 발전과정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