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연, 출판, 테마파크, 트랜스미디어 산업 특징 전망

테마파크의 유형

테마파크의 유형

테마파크의 유형
테마파크의 유형

민속과 역사 테마파크는 지역의 전통, 역사, 문화와 관련된 소재가 구성이 됩니다. 첫 번째로 인간 사회의 민속이나 전통 건축물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의 사례를 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속하는 테마파크는 과거 어떤 시대나 지역을 선정하거나 민가나 건축물을 복원하고 새롭게 구성하고 지역성 및 시대성의 가치를 표현합니다. 더 나아가 외국에 잘 알려진 특정지역을 선정하여 건축물, 풍습, 관광상품을 재현하는 경우인데, 일본에 네덜란드를 테마로 한 하우스 텐보스가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주제 테마파크

역사적 사실과 인물에 중심을 두어 환경과 상황을 재현해 나가며 구성하는 역사 주제 테마파크도 있습니다. 1974년에 개관한 한국민속촌은 전통가옥과 어트랙션을 보유하고 있고, 다양한 영화 및 영상 프로그램의 촬영지로도 활용되었습니다. 2017년 시작한 '웰컴 투 조선'은 조선시대로 떠나는 체험을 연기자와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많은 인기를 끌기도 했습니다. 경남 김해에는 가야역사를 테마로 한 김해 가야 테마파크도 있습니다. 다음 유형으로는 지구 상의 생물을 테마로 하는 파크도 있습니다. 동물을 주제로 하는 동물원이나 식물을 주제로 하는 식물원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디즈니애니멀킹덤과 부쉬 가든은 동물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에 해당됩니다. 디즈니의 애니멀 킹덤은 580 에이커의 넓은 부지에 사파리와 동물 주제 어트랙션과 공연을 연출합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이언킹을 주제로 한 공연 또한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양생물을 주제로 씨월드나 디스커버리 코브도 있는데, 디스커버리 코브는 관람객이 돌고래와 함께 수영을 할 수 있는 체험도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구조물과 건축물을 테마로 한 유형도 있습니다. 유명한 구조물과 건축물을 의도한 크기로 축소하여 풍경이나 시대 모습을 재현하여 미니어처 파크로도 만든 것들이 해당 유형에 포함됩니다.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마두로담이 해당 유형의 사례입니다. 우주와 과학 테마파크는 초기에 차별화된 주제와 정보적, 교육적 기능을 이용해 인기를 끌었습니다. 다만 빠른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 반영이 늦게 되면서 인기도가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우주과학 테마파크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일본 규슈의 스페이스 월드와 미국의 케네디 스페이스센터 등이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을 주제로 한 테마파크로는 2010년 아부다비에 개장한 페라리월드가 있습니다. 페라리월드에는 4초 만에 240KM에 도달하는 세계 최대속력의 롤러코스터가 있습니다. 다음은 영화나 드라마의 세트장을 활용하여 조성하거나 세트장 형태로 구성한 스튜디오형 테마파크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들 수 있는데, 주라기 공원이나 스파이더맨, 해리포터 등의 영화를 주제로 한 어트랙션을 포함한 파크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사극 세트장을 활용한 부안 영상테마파크나 남양주 종합촬영소 등이 있지만 독특한 어트랙션이나 체험 프로그램이 다소 부족하여 재방문을 이끌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어뮤즈먼트 파크

특정 테마 주제로 환경을 구현한 어트랙션이 아니고, 놀이시설 위주로 구성한 파크는 테마파크보다는 어뮤즈먼트 파크에 가깝습니다. 특히 이러한 파크는 스릴 라이드를 즐기는 젊은 층에게는 더욱 인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의 식스 플래그나 파라마운트 파크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파크는 더욱 높은 곳에서 하강하거나 더욱 빠른 코스터 등으로 경쟁을 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캐릭터를 주제로 구성한 파크도 있습니다. 캐릭터가 주제로 선정되면 어트랙션, 이벤트, 상품화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일본의 산리오 퓨로랜드는 일본의 대표 캐릭터 중 하나인 헬로키티를 주제로 합니다. 자연자원인 바다, 산, 온천 등을 주제로 만들어진 파크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연경관이나 친환경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관광단지나 파크 내부 시설과 연계하여 복합적인 구성을 만드는 형태입니다. 자연테마파크는 '자연과 삶'의 분류에 속하고 넓게는 '생태'와 자연환경 영역으로도 확대됩니다. 온천이 발달된 일본에는 온천을 테마로 한 나가시마 스파랜드도 있고, 바다를 활용해 만든 워터파크인 요코하마 씨 파라이디스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복합적인 테마를 가지고 구현한 테마파크 유형이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디즈니 파크를 들 수 있습니다.